bitmap 방식

- 종류
- mdpi : 초창기로 1px = 1dp임
- hdpi : 1.5px = 1dp
- xhdpi : 2px = 1dp
- xxhdpi : 3px = 1dp
- xxxhdpi : 4px = 1dp
- 해상도의 크기에 따라 cpu의 노동 강도가 달라짐
- 만약 xxxhdpi의 해상도를 사용할 수 있는데 xxxhdpi의 리소스가 없으면 xxhdpi, xhdpi, hdpi, mdpi 순으로 리소스를 찾아가면서 사용하게 됨
- 비트맵은 용량이 큰 대신 품질이 좋음, 그러나 xxxhdpi의 해상도를 사용해야 되는데 없어서 mdpi를 사용하는 경우 pixel이 찌그러드는 단점이 존재
vector
- svg 확장자를 가진 파일로 xml code로 이루어짐
- 대체로 용량이 작음
- 어떤 크기에도 상관 없음 (크기에 구애받지 않음) → 해상도별 파일이 필요 없음 → 앱의 절대적인 용량에서는 이득
- 아주 큰 장점으로 색상 변경이 code로 가능하기에 굉장히 용이함
- animation을 만들 때도 vector가 훨씬 이득임 (ex Lottie…)
- 그러나 어떤 크기에도 들어가기 때문에 크기에 맞춰서 연산을 해주어야 함 → cpu의 처리량은 bitmap에 비해 많음
'CS > Android, Kotli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ndroid] Custom View (0) | 2023.04.15 |
---|---|
[Android] Data Binding (0) | 2023.04.15 |
[Android] MVVM (0) | 2023.04.13 |
[Android] AOS ART, Garbage Collector 방식 (0) | 2023.04.07 |
범위 지정 함수 (0) | 2022.12.01 |